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성 폭우가 잦아지면서 산사태와 같은 토사재해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토사 재해는 태풍 등의 호우와 집중 호우, 지진이 원인으로 경우가 많아 돌발적으로 큰 파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발생한 후에는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비상새를 대비하여 평소에 미리미리 준비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토사재해의 종류와 전조현상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태풍, 폭우, 지진 등에 의해 토사 재해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토사 재해에는 경사면의 지표에 가까운 부분이 빗물의 침투나 지진 등으로 느슨해져 갑자기 무너져 내리는 '산사태', 경사면의 일부 혹은 전부가 지하수의 영향과 중력에 의해 천천히 경사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땅밀림', 산 중턱이나 강바닥의 돌, 토사가 장마나 집중호우에 의해 단번에 하류로 떠내려가는 '토석류'가 있습니다.
또한 토사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는 다양한 전조 현상이 일어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전조 현상을 알게 되면 주위 사람에게도 알리고 즉시 피난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산사태
경사면의 지표에 가까운 부분이 빗물의 침투나 지진 등으로 느슨해지면서 갑자기 무너져 내리는 현상입니다.
한번 무너지기 시작하고 나서는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대피할 시간이 없어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많은 재해입니다.
✅ 벼랑에 금이 간다
✅ 조약돌이 떨어진다
✅ 물이 솟아난다, 물이 탁해진다
✅ 땅울림이 난다
▶ 땅밀림
경사면의 일부 혹은 전부가 지하수의 영향과 중력에 의해 천천히 경사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이동하는 흙덩이의 양이 많기 때문에 막대한 피해를 끼칩니다.
☑️ 지면이 갈라진다, 함몰된다
☑️ 벼랑과 비탈에서 물이 뿜어져 나온다
☑️ 땅이 울리고 산이 울린다
☑️ 수목이 기운다
☑️ 균열이나 단차가 발생한다
▶ 토석류
산 중턱이나 강바닥의 돌, 토사가 장마와 집중 호우 등에 의해 한꺼번에 하류로 떠내려가는 현상입니다. 시속 20~40km로 순식간에 민가나 밭 등을 궤멸시켜 버립니다.
✅ 강물이 탁하고 유목이 섞인다
✅ 썩은 흙냄새가 난다
✅ 비가 오는데 수위가 내려간다
✅ 돌이 서로 부딪치는 소리가 들린다
✅ 산울림이 난다
토사재해의 발생하기 쉬운 때
토사 재해는 땅속에 많은 비가 쌓인 곳에 강한 비가 내리면 발생하기 쉽습니다.
최근 들어 '집중 호우'나 '국지적 호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발달한 적란운에 의해 발생합니다.
집중호우는 적란운이 같은 장소에서 계속 발생과 발달을 반복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좁은 지역에 많은 비가 몇 시간에 걸쳐 계속 내려 수백 mm가 넘는 강우량이 기록됩니다.
한편, 국지적 호우는 하나의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일어나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비가 강해져 국지적으로 짧은 시간에 수십 밀리 정도의 비가 내립니다.
이러한 집중 호우나 국지적 호우가 발생했을 때는 토사 재해의 위험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토사재해의 발생하기 쉬운 장소
토사 재해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선상지
선상지란 하천이 산지에서 평지 쪽으로 흘러내려오면서 형성되는 중척지형을 말합니다.
산간지역의 폭우에 의해 산사태가 발생하면 토석류가 선상지를 직격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조성지
인공적으로 쌓아 올린 조성지에서는 지질과 지형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폭우가 내리면 지반이 느슨해져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물을 빼는 구멍을 통해 탁한 물이 나오기 시작하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산악 지대
폭우나 지진에 의해 산사태가 발생합니다. 수목이 적은 산간 지역에서는 토석류의 위험이 커지게 됩니다.
▷ 급경사지
급경사지에서는 절벽 붕괴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벼랑이 무너지는 사태는 호우 등에 의해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빠른 대피에 유의해야 합니다.
'■ 안전・안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에 조심 - 추석맞이 예초기 사고・벌쏘임 주의 / 안전수칙 알아보기 (0) | 2024.09.02 |
---|---|
최후의 생명줄 "완강기" 사용법 / 주의점 / 체험 가능한 곳 한번에 정리하기 (0) | 2024.09.02 |
월세 계약 전에 꼭 보세요!! 내 보증금을 지키는 월세 계약 전의 포인트 (0) | 2024.08.16 |
미리 알고 대비하자! "이안류" 발생 원인과 대처 방법 - 발생 가능성은 사전 체크 가능합니다 (0) | 2024.06.30 |
가까운 무더위 쉼터 검색하기 - 국민재난안전포털사이트에서 간단! (0)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