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환백과사전/- 대상포진6 안면 마비 - 람세이 헌트 증후군의 원인 / 증상 / 치료 방법 한번에 정리하기 람세이 헌트 증후군이란 얼굴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안면 신경 마비에 난청, 현기증, 이명, 외이염이 합병한 질환입니다. 이 병은 1907년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안면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제임스 람세이 헌트(James Ramsay Hunt) 박사의 이름을 따 명명된 것으로 헌트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람세이헌트 증후군의 발병 원인이 질병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소아기에 처음 감염된 후 안면신경의 슬신경절에 잠복된 상태로 남아있게 됩니다. 증상없이 잠복한 상태로 있던 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면역력 저하 등으로 재활성화되면 헌트증후군이 발병합니다. 안면 신경 자체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말초성 안면 신경 마비라고 하는데.. 2024. 7. 7. 대상포진 예방접종 - 생백신보다는 사백신 "싱그릭스"를 추천! 예방효과와 유효성 지속 기간이 월등 대상포진 예방접종 - 생백신보다는 사백신 "싱그릭스"를 추천! 예방효과와 유효성 지속 기간이 월등2024년 5월말 국내 시장에서 15년간 판매되어 온 조스타박스(생백신)의 시장 철수가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2017년*에 조스타박스를 대체할 수 있는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사백신/GSK개발)'이 등장하면서 점점 입지가 좁아지게 된 결과입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22년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이후 사용 중입니다. 생백신과 달리 바이러스나 세균을 죽인 뒤에 사용하는 사백신 '싱그릭스' 는 물론최신 기술인만큼 상대적으로 비용이 비싸고 2회 접종해야 하는 부분은 있지만, 그 예방 효과와 지속 기간에서는 월등한 효과가 있습니다.다만 생백신의 경우도 접종 시기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여전히 선택 가능한.. 2024. 6. 18. 대상포진 예방 접종 - 50세 이상은 필수! 가까운 접종 병원과 비용 간단하게 검색하기 매년 우리나라에서는 약 70만명 이상의 대상포진 환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 한번쯤은 수두에 걸린 경험은 누구나 있으실텐데요, 수두에 걸렸던 사람은 모두 대상포진 발병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접종을 통해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아쉽게도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아직 필수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에 해당되지 않기에 비급여 진료항목으로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래도 대상포진으로 인한 통증화 후유증 등의 위험성을 고려해서 "50세 이상" 성인이라면 근처 병원을 방문하여 예방접종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상포진 백신의 종류대상포진의 백신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각 병원마다 취급하는 백신의 종류가 다르고 비용의 편차가.. 2024. 6. 18. "대상포진"의 원인은? 어떤 사람이 걸리기 쉬울까? 간단하게 정리하기 통증은 물론 후유증의 위험이 뒤따르는 "대상포진".그 원인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이 포스팅에서는 대상포진의 원인과 더불어 어떤 사람이 걸리기 쉬운지를 자세하면서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상포진의 원인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varicella-zoster virus, VZV) 대상포진의 원인은 많은 사람들이 어렸을 때 한 번쯤 겪어보았을 "수두"와 같은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입니다. 그래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요.유년기에 수두가 다 나은 후에도 이 바이러스는 척추에 가까운 신경에 숨어서 무증상인 채로 도사리고 있습니다.그러다가 노화나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이 떨어졌을 때 바이러스가 다시 깨어나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 수두 발병수.. 2024. 6. 8. 대상포진 보다 무서운 "대상포진 후 신경통" - 그 외 후유증까지 원인/치료/예방 한방에 정리 대상포진의 합병증 중에서도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입니다. 대상포진의 초기증상과 함께 대상포진 후 신경통에 대해서도 알고있으면 병에 대한 경각심이 조금 더 생겨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원인과 증상, 또한 어떤 사람에게 발병하기 쉬운지에 대해서, 그리고 그 외에 주의해야 할 후유증이나 합병증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가장 흔한 대상포진의 후유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대상포진 합병증 중 가장 빈도가 높은 후유증으로, 피부 증상이 모두 나은 후에도 통증만이 남게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이 있습니다. PHN의 통증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고 「타는 것 같은」 「조이는 것 같은」 등의 지속적인 통증이나 「지글지글한」 쑤시는 것 같은.. 2024. 6. 6. "대상포진"의 초기 증상 / 경과 간단하게 정리하기 "대상포진"이라는 병명을 많이 들어보셨죠? 통증도 심하지만 후유증이 무서운 병 중에 하나이기도 합니다. 특히 머리나 안면에 발생하는 대상포진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이나 난청, 안면마비 등의 후유장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증상부터 숙지해 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대상포진의 특징부터 초기에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증상이 나타난 후 어떠한 경과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증상이 나타나는 신체의 부위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대상포진의 특징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몸의 좌우 중 한쪽에 생기는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발진입니다. 통증은 동반하는 발진은 곧 작은 물집으로 변하면서 점점 수가 늘어나고 일부에는 고름이 쌓이게 됩니다. 그 후에는 딱지가 되어 피부의 증상이 완화되고 점차.. 2024. 6.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