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세플라스틱2

얼린 플라스틱 용기서 미세플라스틱 다량 검출 - 가열/상온 상태보다 훨씬 더 많이 나옵니다! 무더위가 계속되다 보니 페트병 생수를 얼려서 챙겨다니시는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앞으로는 안될 것 같습니다. 플라스틱 페트병은 가열하거나 상온으로 보관한 상태보다 얼렸을때 가장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인데요. 이 포스팅에서 자세하면서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플라스틱 얼리면 미세플라스틱이 더 나옵니다. 미국 버지니아 공과대학과 중국 저장대 공동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결과를 지난 2월 '유해물질 저널'이라는 국제학술지에 논문으로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팀은 플라스틱 용기를 얼렸다가 다시 녹이는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나오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하는데요. 실험은 두께 2.2mm의 PPR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소재의 용기에 아무것도 섞지 않은 순수.. 2024. 8. 19.
그동안 사다 마신 생수가 고혈압의 주범? 미세 플라스틱의 위험성 어떤 물을 드시고 계신가요?정수기? 브리타? 혹시 플라스틱 병에 든 생수를 일상적으로 드시고 계시진 않나요?저도 지금 500ml짜리 플라스틱 통에 든 생수를 마시고 있는데요... 간편해서 자꾸 손이 가는 이 플라스틱 통 생수를 이제는 그만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 몸에 독이 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위험성을 알아보겠습니다.     "플라스틱 병에 담긴 물을 일상적으로 마실 경우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플라스틱 병에 담길 물을 일상적으로 마실 경우에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오스트리아 연구팀의 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국제학술지인 "마이크로 플라스틱 (Microplastics)"에 게재된 오스트리아의 다뉴브 사립대학교 의학과 연구팀의 연구 결과입니다. 이 연구팀은 실험에 참여.. 2024.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