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백과사전/- 대상포진

안면 마비 - 람세이 헌트 증후군의 원인 / 증상 / 치료 방법 한번에 정리하기

by meri.m 2024. 7. 7.
반응형

람세이 헌트 증후군이란 얼굴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안면 신경 마비에 난청, 현기증, 이명, 외이염이 합병한 질환입니다. 이 병은 1907년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안면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제임스 람세이 헌트(James Ramsay Hunt) 박사의 이름을 따 명명된 것으로 헌트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면 마비 - 람세이 헌트 증후군의 원인 / 증상 / 치료 방법 한번에 정리하기

 

 

 

 

 

람세이헌트 증후군의 발병 원인

이 질병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소아기에 처음 감염된 후 안면신경의 슬신경절에 잠복된 상태로 남아있게 됩니다.

증상없이 잠복한 상태로 있던 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면역력 저하 등으로 재활성화되면 헌트증후군이 발병합니다. 안면 신경 자체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말초성 안면 신경 마비라고 하는데 헌트 증후군은 말초성 안면 신경 마비의 약 15%를 차지합니다.



 

 

람세이헌트 증후군의 증상

안면 신경 마비로 인해 얼굴 표정이 잘 지어지지 않게 됩니다.

이마의 주름이 없어진다거나 눈을 떴을 때 안열이 확대되고, 눈을 감을때 안륜근이 수축하지 않아 눈을 감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팔자 주름이 소실되어 구순(입 가장자리의 경계부분)이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모이는 듯한 증상을 일으킵니다. 

아침 세면이나 식사 시에 입에 머금은 물이나 음식물이 입 가장자리에서 흘러내리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면신경은 눈물이나 침 분비, 미각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눈이 건조하거나 눈물을 흘리는 증상, 목이 마른 느낌, 미각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명, 난청, 현기증과 같은 내이 장애를 일으키며 외이도 및 귓바퀴 주위에 대상포진이라 불리는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한 붉은 발진·수포가 발생합니다.
간혹 드물게 삼킴이나 발성과 관련된 다른 뇌신경에도 바이러스 감염이 전파되어 위중한 증상을 합병할 수 있습니다.

 

 

 

 

람세이헌트 증후군의 검사와 진단방법

안면 신경 마비 정도를 평가합니다. 주로 많이 사용되는 야나기하라법은 40점법으로, 10점 이상을 부전 마비, 8점 이하를 완전 마비, 혹은 20점 이상을 경증, 18~10점을 중등증, 8점 이하를 중증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난청이나 이명, 현기증과 같은 내이 장애의 진단과 청력 검사, 평형 기능 검사도 실시합니다. 

대상포진의 진단은 피부나 점막을 살펴보아 실시를 합니다. 외이 염증 상태를 보이는 비전형 사례나 뒤늦게 대상포진이 출현하는 사례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면 신경은 중이를 지나가기 때문에 안면 신경의 장애 부위 진단 목적으로 미각 검사 등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여러 번의 혈액검사를 통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발 근전도 검사나 신경 흥분성 검사로 안면 신경 마비의 정도를 측정하면 어느 정도의 예후 예측을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검사법은 발병 후 7~10일 이내가 아니면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없습니다.


 

 

 

람세이헌트 증후군의 치료방법

스테로이드 호르몬제항바이러스제를 통한 약물 치료를 실시합니다. 신경 마비의 원인은 염증성 신경 부종으로 추정됩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항염증, 항부종 효과는 투여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안면 신경 마비의 중증도에 따라 투여량은 달라집니다. 조기에 투여할수록 효과적이며 늦어도 10일 이내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한편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로, 이미 증식한 바이러스는 죽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마비가 발병하고 3일 이내의 투여해야 합니다.


마비 발생하고 8일 이후의 항바이러스제 투여나 마비 발생 14일 이후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투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마비의 정도에 따라 치유율이 달라집니다. 고도 마비의 예에서 유발 근전도 검사나 신경 흥분 검사의 반응이 부족한 경우에는 신경 감하술이라고 불리는 수술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으며 수술 최적 시기는 2주 이내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