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백과사전

갑작스런 명치 통증, 혹시 급성췌장염? 원인 / 증상 / 검사 / 치료 / 예방 한번에 정리하기

by meri.m 2024. 5. 25.
반응형

급성췌장염은 위 뒤쪽에 있는 췌장이라는 장기에 급격한 염증이 생기면서 명치나 등에 강한 통증 등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췌장에는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내는 작용과 음식을 소화하는 췌장액이라는 소화 효소를 내는 작용이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보통 췌장액은 췌장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동할 때 비로소 활성화되어 음식물 소화를 돕습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췌장 속에서 췌장액이 활성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활성화된 췌장액에 췌장 자신이 소화되어 버리면 급성 췌장염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급성췌장염은 주로 여성의 경우 70대, 남성의 경우 60대 환자가 많고 남성에게 좀 더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갑작스런 명치 통증, 혹시 급성췌장염? 원인 / 증상 / 검사 / 치료 / 예방 한번에 정리하기

 

 

 

 

급성 췌장염의 원인

급성 췌장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음주와 담석증의 발생을 들 수 있습니다.

알코올을 너무 많이 마시면 췌장액의 분비가 촉진되고, 그것이 십이지장으로 잘 흐르지 않게 되어 급성췌장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 담석증은 음식물 소화를 돕는 담즙의 통로인 담도에 결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결석은 담즙의 성분이 응축됨으로써 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고령화 등에 의해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담도와 췌관은 같은 출구이기 때문에 담도에서 만들어진 담석이 췌관에 막히게 되면 췌액이 잘 흐르지 않게 되어 급성췌장염을 일으킵니다.


그 외에도 급성췌장염은 수술이나 부상, 내시경을 통한 췌장관 검사(ERCP: 내시경적 역행성 담관췌관 조영검사), 치료제 등을 계기로 발병할 수도 있으며 선천적인 췌장의 이상(췌관유합부전)이나 이상지질혈증 등의 질병이 원인이 되어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또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급성췌장염도 있습니다.

 

 

 

 

급성 췌장염의 증상

급성췌장염의 주요 증상은 명치(상복부)나 등에 생기는 강한 통증입니다.

이 통증은 식후나 술을 마신 후에 생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통증이 강하기 때문에 몸을 똑바로 유지하지 못하고 웅크리는 듯한 자세가 되어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또한 발열이나 메스꺼움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 중증화된 경우
급성췌장염이 중증화되면 췌장이 붓는 것으로 인해 내장의 움직임이 나빠져 장폐색 등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또한 쇼크 상태에 빠지는 것으로 식은땀이나 현기증, 혈압이나 의식의 저하가 생겨 생명에 지장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담석증에 의한 급성췌장염의 경우
담석증에 의한 급성췌장염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증상 외에 황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황달은 피부나 흰자위 부분이 노랗게 되고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기며 빌리루빈뇨라고 불리는 갈색의 소변이 나오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 후기 합병증
급성 췌장염의 경우 치료 후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췌장이나 그 주변의 지방이 괴사함에 따라 고름이 쌓이는 '피포화 괴사'는 패혈증 등 생명과 관련된 질병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급성 췌장염의 검사 방법

식후 또는 음주 후에 명치의 강한 통증 등 급성췌장염을 의심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영상 검사 등이 시행됩니다. 급성췌장염 진료 지침에 따라 중증도를 판정하고 중증도에 맞는 치료를 검토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혈액 검사 및 소변 검사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에서는 주로 췌장의 소화 효소 "아밀라아제" "리파아제"의 수치나 염증 상태를 나타내는 백혈구 수, CRP값 등을 확인합니다. 또 담석증에 의한 급성췌장염의 경우에는 혈액검사에서 간담도계 효소인 AST, ALT, γ-GTP, ALP, T-BiL 등의 수치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영상 검사
영상 검사로는 초음파 검사와 CT 검사가 실시되어 췌장의 부기나 주변에 액체가 쌓여 있지 않은지 등을 확인합니다. 

특히 조영제를 이용한 CT 검사는 췌장의 상태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중증의 급성 췌장염에서는 췌장의 세포가 괴사 하여 검게 찍힙니다.

 

 

 

급성 췌장염의 치료하기

급성췌장염은 경증 단계에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증화되면 치료가 길어지는 것 외에도 생명에 위협이 될 우려도 있습니다. 치료는 입원을 하고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치료 내용은 다릅니다.

📌 경증의 급성췌장염인 경우
경증의 급성췌장염의 경우 우선 대량의 링거 요법을 통해 몸을 둘러싼 수분량을 정상화해 장기 장애를 예방합니다. 

그 밖에 췌장에 있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치료제나 통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진통제, 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 등의 사용이 검토되기도 합니다.

📌  중증 급성췌장염의 경우
중증의 급성 췌장염이라도 경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거 요법이 실시됩니다. 게다가 중증 사례에서는 염증이 전신에 미쳐 다양한 장기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치료나 승압제 투여, 투석 요법 등 중환자실에서의 치료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영양을 섭취하기 위해 코에서 위로 가는 관을 넣어 영양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기타 치료 방법
담석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의 경우 내시경을 사용하여 담석을 제거하는 것이 검토됩니다. 또한 자가면역성 췌장염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투여가 검토될 수도 있습니다.

📌  후기 합병증에 대한 치료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급성췌장염에서는 치료 후 췌장이나 그 주변에 고름이 쌓이는 '피포화괴사'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이 생긴 경우에는 괴사한 부분을 제거하는 내시경 치료 등이 검토됩니다.

 

 

급성 췌장염 예방 방법

급성췌장염은 알코올 섭취나 동물성 지방이 많은 식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음주 후 급성 췌장염에 걸린 적이 있는 분은 금주하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평소 동물성 지방이 많은 식품을 삼가고 다양한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을 유의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