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백과사전

선천성풍진증후군 원인 / 증상 / 치료법 총정리

by meri.m 2024. 6. 21.
반응형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란 태아가 풍진 바이러스에 감염되면서 일어나는 질병을 총칭합니다.

항체가 없거나 적은 임산부가 풍진에 걸리게 되면 풍진 바이러스가 태아에게 감염되어 선천성 풍진증후군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풍진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선천성 심질환난청백내장이며, 선천성풍진증후군의 3대 증상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이 동시발생하는것은 아닙니다.

선천성풍진증후군은 풍진이 유행하는 해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0만 출생당 1.8~7.7의 빈도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부가 풍진에 감염되는 시기에 따라 발생 빈도가 다르며, 임신부에게 풍진 증상이 나타나는 현성감염의 경우는 임신 1개월에 감염에서 50% 이상, 2개월에 35%, 3개월에 18%, 4개월에 8% 정도의 태아에서 선천성풍진증후군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현성 감염뿐만 아니라 임신부에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의 경우에도 태아에게 선천성 풍진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풍진증후군 원인 / 증상 / 치료법 총정리

 

 

 

 

선천성 풍진 증후군의 원인

선천성 풍진 증후군의 원인은 태아기 풍진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입니다.

특히 임신 3개월 이내 발생단계 초기에 풍진바이러스에 감염됨으로써 선천성풍진증후군에서 보이는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어머니가 풍진에 걸렸다고 해도 모든 태아에서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어머니에게 발진이 나타난 경우의 약 3분의 1에서 태아에게 풍진 바이러스의 감염이 나타나고, 그 중 약 3분의 1이 선천성 풍진증후군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선천성풍진증후군 중에서도 특히 빈도가 높은 증상은 선천성 심질환난청백내장입니다.

그 밖에 소두증, 저출생체중, 간비종, 혈소판감소, 정신발달지체, 망막병증, 당뇨병, 소안구 등의 폭넓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천성풍진증후군의 증상은 특히 임신 초기 3개월 이내의 임신부의 풍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난청은 임신 4개월 이후의 감염으로도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경우 고도 난청이 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 검사

선천성풍진증후군 검사는 어머니가 임신 시 풍진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거나 태아나 신생아에게 선천성풍진증후군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 시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기 이후라도 영유아에게 원인불명의 백내장이나 난청이 있는 경우에는 선천성풍진증후군을 의심하여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태아나 출생아의 풍진 바이러스의 태내 감염 여부를 조사하는 방법에는 풍진 바이러스 항체를 조사하는 방법, 풍진 바이러스를 직접 분리하는 방법, 풍진 바이러스 유전자 여부를 조사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태아의 경우 검사에서는 어머니의 태반 융모, 제대혈, 양수 등의 태아 유래 조직을 사용하고, 출생아의 경우 혈액, 인두추출액, 침, 소변 등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검사 결과 풍진 바이러스의 태내 감염이 증명된 경우에는 심장질환, 난청, 백내장 등의 합병증 여부를 조사합니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의 치료

선천성풍진증후군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각각의 합병증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빈도가 높은 3대 증상에 대한 치료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심장 질환

심장 질환의 정도가 가벼운 경우는 성장과 함께 자연 치유될 수 있습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수술 가능한 연령이 될 때까지 성장을 기다려 수술을 실시합니다.

- 백내장

성장을 기다린 후에 수술로 탁함을 제거하는 백내장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아기는 시력발달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조기에 수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습니다.
경증의 경우는 수술을 하지 않고 경과 관찰이나 약시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 난청

청각 특별 지원 학교나 아동 발달 지원 센터등에서 청능 훈련이나 언어 지도를 받아, 생활의 질(QOL)의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난청의 정도에 따라 보청기 착용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보청기를 사용해도 청력 개선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공와우 매립술이 시행될 수도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질환 총정리

선천성 심장질환이란 선천적으로 심장이나 혈관의 형태에 이상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100명 중 1명꼴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중증도나 증상의 발현 방법 

munmeri.tistory.com

 

 

백내장

백내장은 눈 안에서 카메라의 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라는 부위가 탁해져 버리는 상태를 말합니다. 수정체가 탁해져 버리면 시야가 흐려진다거나 이중으로 보인다, 눈부심을 느

munmeri.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