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백과사전

동맥관 개존증 (PDA) 이란? 발병원인 / 증상 / 치료법 한번에 정리하기

by meri.m 2024. 6. 21.
반응형

동맥관 개존증(PDA)이란 본래 출생 후에 자연스럽게 닫아야 할 "동맥관(대동맥과 폐동맥을 잇는 혈관)"이 열린 채로 있게 되는 병을 말합니다.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질환의 하나로 여러 가지 선천성 심장질환 중에서 5~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저체중으로 출산한 경우에 많이 나타나며 1500g 미만으로 태어난 경우에는 34%, 1000g 미만으로 태어난 경우의 48%에 발병하여 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아 때는 폐호흡을 하지 않기 때문에 폐에 필요한 혈류량이 적고 심장에서 폐로 혈류를 보내는 폐동맥에서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대동맥으로 직접 연결되는 동맥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동맥관은 태어나서 폐호흡을 시작하게 되면 폐로 많은 혈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능적으로는 생후 10~15시간, 기질적으로는 생후 2~3주 정도면 자연스럽게 닫히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동맥관의 폐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열린 상태가 되면 동맥관을 통해 대동맥에서 폐동맥으로 혈액이 역류하게 됩니다.
그로 인해 심장에 부담이 증가하고 폐에 혈류량이 증가함으로써 성장발육이 늦어지는 등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 (PDA) 이란? 발병원인 / 증상 / 치료법 한번에 정리하기

 

 

 

 

동맥관 개존증의 발생 원인

동맥관은 출생 후 폐호흡을 시작하면 혈액 내 산소가 증가하고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의 혈중 농도 저하되면서 수축하게 됩니다.
기능적으로 생후 10~15시간, 기질적으로는 생후 2~3주 정도면 폐쇄합니다.

그러나 아래에 기재된 다양한 경우에 의해 동맥관의 폐쇄가 방해를 받습니다.

 

▷ 조산에 의한 동맥관 조직 등의 미발달

저체중 출생아의 동맥관은 상대적으로 산소의 반응이 둔하고 또한 프로스타글란딘의 대사가 미성숙하여 체내에 남기 쉽기 때문에 동맥관이 닫히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조산으로 인해 동맥관의 조직이 충분히 발달하기 전에 태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동맥관이 폐쇄되기 어려워 동맥관 개존증이 발병하기 쉽습니다.

▷ 혈액 속의 산소 부족

출산 시의 문제나 다른 선천성 심장 질환에 의해 혈중 산소가 부족한 상태가 되는 것도 동맥관 개존증의 원인이 됩니다.

 

▷ 선청성풍진증후군

임신 중 어머니가 풍진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태반을 경유하여 태아가 선천성풍진증후군을 발병할 수 있습니다.
이 선천성 풍진 증후군도 동맥관 개존증을 일으키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의 증상

동맥관 개존증은 출생 후 닫혀야 할 대동맥과 폐동맥을 연결하는 "동맥관"이 열린 채로 있게 되는 질병입니다.
대동맥은 심장에서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혈관이고, 폐동맥은 전신을 돌아 산소가 줄어든 혈액이 심장에서 폐로 내보내는 혈관입니다.

태아기 때는 폐로 호흡을 하지 않기 때문에 폐로 많은 혈류가 필요하지 않고 폐동맥에서 직접 대동맥으로 혈액이 흐르기 때문에 동맥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출생 후 폐호흡을 시작하면 폐에 많은 혈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동맥관이 폐쇄되어 대동맥과 폐동맥의 교통은 없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폐동맥의 압력은 출생 후 저하되어 갑니다. 따라서 출생 후에도 동맥관이 열린 상태가 되면 압력이 높은 대동맥에서 압력이 낮은 폐동맥으로 혈액이 역류하기 때문에 폐로 보내지는 혈액량이 증가하여 전신으로 보내지는 혈액이 감소합니다.

그 결과 동맥관이 굵고 혈액의 역류량이 많은 경우는 심장과 폐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맥압의 증가(수축기 혈압-확장기 혈압)나 숨 가쁨, 다호흡, 빈맥을 비롯해 체중증가 불량, 다한 등의 증상이 유발되고 정상적인 성장발육에 지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폐 울혈이나 심부전 등을 초래하게 됩니다. 
장관이 괴사 하는 괴사성 장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고, 치료가 늦어지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 검사와 진단

동맥관 개존증은 특징적인 심잡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청진이나 신체 소견 등에서 동맥관 개존증이 의심될 때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실시합니다.

 

▶  심장 초음파 검사

심장의 모양과 혈액의 흐름, 기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동맥관 개존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먼저 심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닫히지 않은 동맥관의 유무를 확인하거나 심장에 대한 부담의 정도 등을 평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  영상 검사

동맥관 개존증은 중증인 경우 심부전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부전에 의한 심확대(심장이 커짐)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X선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심전도 검사

이 질병은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혈액 검사

빈혈이나 염증의 유무, 간과 신장의 기능 등 전신의 상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혈액 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

동맥관 개존증은 중증도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이 크게 다릅니다.

동맥관 개존증으로 진단된 경우에도 약 3분의 1은 자연적으로 동맥관이 폐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동맥관의 개존이 인정되지만 증상이 없고 대동맥에서 폐동맥으로의 역류가 적은 경우는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경과를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한편 심부전 증상이 있는 경우는 수분을 제한한 후에 이뇨제 등에 의한 약물 요법을 실시합니다.
또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에서는 동맥관의 수축을 촉진하는 인도메타신이라는 약물을 투여합니다.

그러나 심부전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나 미숙아 동맥관 개존으로 인도메타신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등에서는 동맥관을 폐쇄하기 위한 외과 수술이나 카테터 치료가 필요합니다.
외과 수술은 동맥관을 실로 묶거나 클립으로 닫는 개흉 수술이나 내시경의 영상을 보면서 동맥관을 클립으로 닫는 흉강경 수술을 들 수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

동맥관 개존증은 조산이나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 발병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조산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임산부에게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스테로이드 투여가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또한 선천풍진증후군은 동맥관개존증 이외에도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임신 전에 백신을 접종하는 등의 대책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질환 총정리

선천성 심장질환이란 선천적으로 심장이나 혈관의 형태에 이상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100명 중 1명꼴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중증도나 증상의 발현 방법 

munmeri.tistory.com

 

 

심부전

심부전이란 일반적으로 '심장이 안 좋기 때문에 숨이 차거나 붓기가 일어나 점점 나빠지고 생명을 줄이는 질병'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의학적으로는 '심강 내에 혈액을 충만하

munmeri.tistory.com

 

 

선천성풍진증후군 원인 / 증상 / 치료법 총정리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란 태아가 풍진 바이러스에 감염되면서 일어나는 질병을 총칭합니다.항체가 없거나 적은 임산부가 풍진에 걸리게 되면 풍진 바이러스가 태아에게 감염되어 선천성 풍진증

munmeri.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