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백과사전

글리오블라스토마 / 교모종 / GBM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하여

by meri.m 2024. 6. 14.
반응형

교모종글리오블라스토마라고도 불리며 뇌 내에 발생하는 악성 뇌종양입니다.
보통 교모종이라는 진단을 받고 나서 처음으로 그 병명을 들었다는 분이 많을 정도로 희소한 암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만 뇌종양 중에서도 가장 예후가 좋지못한 위험한 암이기도 합니다.



발생 부위와 단계에 따라 다양한 교모종의 증상

글리오블라스토마는 대부분의 경우 대뇌에 발생합니다.
대뇌에는 읽기, 쓰기, 생각하기, 말하기, 손발 운동, 감정을 조절하는 중추가 있기 때문에 교모종이 발병하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종양의 발생 부위에 따라서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몸의 다른 부위를 조절하는 뇌의 기능이 방해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두통(매일 지속되며 조금씩 강해진다)
  • 구역질과 구토
  • 졸음

교모종은 폐 등의 뇌 이외의 부위로 전이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종양이 뇌 내에서 급격히 증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날 갑자기 발병한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종양의 증대에 따라 뇌가 압박을 받게 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간질 발작
  • 오른쪽(혹은 왼쪽) 반신 운동 마비
  • 성격변화나 기억장애

 

 

교모종 치료가 어려운 이유

교모종은 종양 주위의 정상적인 뇌 속에 뿌리를 뻗는 형태로 발육합니다(MRI에서 확인 가능한 종양의 음영보다 적어도 2cm의 깊은 곳까지 있다고 봐야합니다).
뿌리를 내린 부분까지 절제하는 수술을 하게되면 정상적인 뇌까지 희생되고 무거운 후유증이 남기 때문에 모든 종양을 다 잘라낼 수는 없습니다.
또한 종양이 커지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수술 후에 남아있는 종양 또한 단기간에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교모종 치료는 수술에서 회복되는 대로 항종양제를 병용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고 그 이후에도 항종양제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표준적입니다.
이러한 표준 치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주치의의 설명을 잘 듣고 경우에 따라서는 세컨드 오피니언을 이용하여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