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백과사전

지주막하출혈의 원인이 되는 "뇌동맥류" 발생 원인 / 치료 방법 알아보기

by meri.m 2024. 6. 9.
반응형

뇌동맥류란 동맥에 발생하는 혹 모양 또는 방추모양 (양끝이 오무러진 꽃봉오리 같은 모양) 으로 부풀어 오른 혹을 말합니다.

큰 혈관의 가지 부분에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가지 부분과는 관계없는 부분에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뇌동맥류가 터지면 뇌를 감싸고 있는 지주막이라고 불리는 막 안쪽에 출혈이 생겨 '지주막하출혈'이라고 불리는 병이 됩니다.
지주막하출혈은 사망률도 높고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건강검진 등으로 뇌동맥류를 사전에 발견하여 경과를 관찰하고 생활습관을 바로잡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뇌동맥류의 원인

뇌동맥류는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겹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선천적인 것으로는 원래 갖고 태어난 동맥벽이 취약한 것, 후천적인 것으로는 고혈압이나 당뇨병, 동맥경화와 흡연 등으로 혈관이 만성적인 손상을 입은 것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성 심내막염이라고 불리는 심장 질환으로 인해 드문 형태의 뇌동맥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파열되지 않은 동맥류는 미파열 동맥류라고 불리며,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동맥류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서는 주위의 신경이나 뇌를 압박해 동공의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또 특히 크기가 큰 동맥류의 경우에는 혹 내부에 핏덩어리가 생기면서 뇌경색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뇌동맥류의 검사 / 진단 방법

뇌동맥류가 있어도 무증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건강검진이나 두통의 원인을 조사하던 중에 뇌 MRI나 MRA라고 불리는 검사 방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동맥류가 발견된 경우, 뇌동맥의 위치와 크기, 형상등을 자세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혈관내 카테터를 이용한 뇌혈관 촬영이나 조영제를 사용하는 머리 CT 검사를 실시합니다.

 

 

 

뇌동맥류의 치료

뇌동맥류의 치료는 다음 세 가지 치료법 중 하나가 선택됩니다.

- 신중한 경과 관찰
- 클리핑수술 (개두 후 실시하는 외과수술)
- 혈관내 치료 (혈관내 카테터를 통해 시행하는 수술)

애초에 뇌동맥류 치료를 해야 하는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혹의 크기와 모양, 가족력의 유무, 생활습관 등 여러 인자를 고려한 후 결정하게 됩니다.

 

 

지주막하출혈 에 대해 더 알아보기

 

 

 

 

 

 

반응형